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마을에서 사과가격이 얼마인지를 결정하려면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수요곡선은 사람들이 구매하기를 원하는 상품의 가격에 따른 수요량을 보여주는 곡선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가격이 1,000원일 때는 100개의 사과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있다면, 가격이 800원이 되면 200개, 가격이 600원이 되면 300개, 가격이 400원이 되면 400개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렇게 가격에 따른 수요량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수요곡선이 됩니다.
반면 공급곡선은 상품을 생산하는 입장에서 생산량과 가격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입니다. 예를 들어, 생산자들이 가격이 1,000원이면 400개의 사과를 생산하려고 하며, 가격이 1,200원이면 500개, 가격이 1,400원이면 600개, 가격이 1,600원이면 700개를 생산할 수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렇게 가격에 따른 생산량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공급곡선이 됩니다.
이렇게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을 이용하여 시장에서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지점이 정적균형점(static equilibrium point)입니다. 이 지점에서 시장은 균형을 이루며 가격과 수량이 안정화됩니다.
Demand and supply curves are important concepts in economics. Let's take a look at a simple example.
For example, if you want to determine how much an apple should cost in a town, you can use a demand curve and a supply curve.
A demand curve is a curve that shows how much of a good people want to buy based on its price. For example, suppose there is a demand to buy 100 apples when the price of apples is 1,000 won, 200 apples when the price is 800 won, 300 apples when the price is 600 won, and 400 apples when the price is 400 won. If you graph this demand as a function of price, you get a demand curve.
A supply curve, on the other hand, is a curve tha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ut and pri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ducer of the good. For example, suppose producers are willing to produce 400 apples at a price of $1,000, and can produce 500 at $1,200, 600 at $1,400, and 700 at $1,600. This graph of production as a function of price is the supply curve.
You can use the demand and supply curves to analyze how prices are formed in the market. The point where the demand and supply curves meet is called the static equilibrium point. At this point, the market is in equilibrium and the price and quantity stabilize.
'투자 공부 > 경제 용어와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부채한도가 늘었을 경우 어떻게될까? (0) | 2023.05.16 |
---|---|
비지배주주란 뭘까? (0) | 2023.03.11 |
지배주주가 뭘까? (0) | 2023.03.11 |
유상증자와 감자차손란 무엇일까 (0) | 2023.03.11 |
'자사주 매입'은 어떤 이점이 있을까? (0) | 2023.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