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선택할 때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그 점수를 기반으로 가장 우수한 주식을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적용할 주식 원칙을 선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 재무상태 원칙: 회사의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검토하여 주식을 선택하는 원칙입니다.
- 적정 가치 원칙: 주식의 적정 가치를 평가하여 그 가치에 비해 가격이 낮은 주식을 선택하는 원칙입니다.
- 경쟁 우위 원칙: 회사의 경쟁 우위성을 검토하여 주식을 선택하는 원칙입니다.
- 성장성 원칙: 회사의 성장성을 검토하여 주식을 선택하는 원칙입니다.
이러한 원칙들 중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원칙을 선택한 뒤, 해당 원칙에 따른 검증 항목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주식에 점수를 부여합니다. 예를 들어, 재무상태 원칙을 선택한 경우, 매출액, 영업이익, 자기자본 등 회사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를 검증 항목으로 선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회사의 재무상태를 점수로 평가하고, 이를 다른 주식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주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이처럼, 주식 원칙 점수제를 활용하면 투자하는 주식에 대한 분석과 검증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주식 시장의 상황과 기업의 변화에 따라 점수제를 수정해나가야 하며, 높은 점수를 받은 주식이 반드시 수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것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따라서 주식 원칙 점수제를 활용할 때는 타당성과 현실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합니다.
점수로 부여하는 것의 장점으로는
- 객관적인 비교 가능: 점수를 통해 주식을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합니다. 또한 여러 주식을 분석할 때도 일관성 있게 평가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 주식 선택 기준 명확화: 점수를 부여할 때 어떤 기준을 따르는지 명확하게 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주식을 선택하는 기준이 뚜렷해져서 주식 분석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 시간 절약: 주식 분석을 할 때 점수제를 사용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하나하나 따로 분석하는 것보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간략히 평가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 실수 예방: 점수를 부여할 때 빠뜨리기 쉬운 항목들도 모두 고려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주식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발전: 발전은 기준이 있어야 쉽게 가능합니다. 점수를 부여하는 원칙표는 그것을 쉽게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은 거의 없습니다.
- 편향성 문제: 주식 투자는 시장의 변화나 기업의 변화 등에 따라 상황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점수를 부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투자 선호도나 경험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편향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에서 원칙을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원칙은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전략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When selecting stocks, you assign a score based on certain criteria, and then select the best stocks based on that score. To do this, you first need to select the stock principles you want to apply, for example
1. Financial Strength Principle: This principle looks at a company's stable financial position to select stocks.
2. fair value principle: This principle evaluates the fair value of a stock and selects stocks that are priced below that value.
3. Competitive Advantage: The principle of selecting stocks by examining a company's competitive advantage.
4. Growth: A stock selection principle that looks at a company's growth potential.
Once you've selected your preferred principle, you'll select the qualifiers for that principle and assign a score to each stock based on those qualifiers. For example, if you choose the financial strength principle, you can select metrics that indicate a company's financial strength, such as revenue, operating income, and equity. Based on this, you can score the company's financial position, compare it to other stocks, and select the one with the highest score.This way, you can systematically analyze and validate the stocks you invest in. However, you should keep in mind that you should modify your scoring system as stock market conditions and companies change, and that a high score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a return. Therefore, you should consider both feasibility and realism when using the stock principle scoring system.
Advantages of scoring include
1. Enables objective comparisons: Scores enable objective comparisons because they allow you to compare stocks. They are also efficient because they allow for consistent evaluation when analyzing multiple stocks.
2. Clarify stock selection criteria: You can clearly define what criteria you are following when assigning a score. This gives you a clear set of criteria for selecting stocks and guides you in your stock analysis.
3. Save time: Using a scoring system when analyzing stocks can save you time. Rather than analyzing stocks one by one, you can simply evaluate them based on predetermined criteria.
4. Avoid mistakes: When you assign a score, you're taking into account all the things that are easy to leave out. This prevents you from making mistakes while analyzing stocks.
5. Progression: Progression is easy when you have a baseline. A table of scoring principles can make that easy.
However, there are few downsides.
1. bias problem: In stock investing,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assign scores because the situation may change according to market changes, company changes, etc. In addition, it may cause bias problems because the scores assigned may vary according to individual investment preferences or experience.
Having a set of principles is very important when investing in stocks. Your principles can vary depending on your personal strategy preferences, and it's important to base your investment decisions on them.
'투자 공부 > 공통으로 중요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의 순매수와 순매도는 무엇을 뜻할까? (0) | 2023.03.05 |
---|---|
3. 매매일지 작성법 - 매우 중요 (0) | 2023.03.02 |
2. 위험관리 하는 법 - 매우 중요 (1) | 2023.03.02 |
성공의 비밀, 투자 격언 10가지 (0) | 2023.02.27 |
종목 추천을 받지 않고 스스로 배워야하는 이유 (0) | 2023.02.26 |
댓글